이슈브리프 |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 지원 전략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저성장이 시장에 진입하고, 경제가 디지털, 융합, 글로벌 경제로 전환되면서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스타트업의 역할이 커지고 있습니다. 창업은 소수만의 전유물이 아닌 누구나 가능하며, 누구나 투자할 수 있는 ‘창업 대중화’ 시대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기업가’와 대학, 연구기관 등 창업지원기관, 투자자가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기업가 정신을 장려하는 환경 개념인 기업가 생태계(Entrepreneurial Ecosystem)가 주목받고 있다. 스타트업 생태계의 선순환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특성과 환경에 맞게 적절하게 조성되어야 하며, 생태계 구성요소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양극화가 줄어들지 않고, 연계성 부족으로 지역 발전 시너지가 반감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 기간산업과의 창업 및 벤처 투자 정책.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 혁신 창업 활성화를 위해 지역 특화사업, 인프라 조성 사업 등 지원과 정책 투자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부산센텀기술창업은 지역 창업생태계 구축의 훌륭한 사례이다. 타운과 광주인공지능산업융복합단지의 운영실적을 검토하였다. 또한, KISTI 지역기관의 역할과 성과를 제시하면서 ‘커뮤니티 캐피탈’, ‘지역별 기회공간’, ‘증거기반 분석 시스템’, ‘관련 활동의 통합 및 지역 스타트업 구축 및 활성화 전략’ 등을 담고 있다. ‘선순환 구조 형성 지원’ 등 생태계를 제안했다. 특히 지역 창업생태계의 거점으로서 연구기관 출연기관의 역할을 강화해 주거환경 개선과 관련 활동의 통합, 선순환 구조 형성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KISTI 이슈브리프 71호 다운로드 ↓ 첨부파일KISTI 이슈브리프 71호.pdf파일 다운로드 내 컴퓨터에 저장

네이버 MYBOX에 저장